SquareDollars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38)
      • 경제지표 공부 (5)
      • 파이썬 기초 (1)
      • 공부 (0)
      • 토목 (20)
        • 토목 관련 기술사 (2)
        • 토질 및 기초 공부 (18)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구조설계법 비교

■ 구조설계법 비교 허용응력 설계법 1. 재료가 탄성한도 이내에서만 안전 2. 사용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부재의 내력이 탄성범위(안전율을 적용한 부재 재료의 허용응력) 이내가 되도록 단면을 결정 3. 하중조합별 증가계수를 적용하고, 재료에는 안전율을 적용 4. 각종 설계기준에서 삭제 - 재료의 성능을 비효율적 활용 - 부재의 파괴강도를 알기 어려움 - 하중 특성을 설계에 반영하기 어려움 강도설계법 1. 확률의 개념이 일부 도입된 설계법 2. 재료가 파괴될 때(최대 능력을 발휘할 때) 설계강도가 계수하중(극한하중)에 의한 소요강도보다 크도록 단면을 결정 3. 하중에는 하중계수, 부재강도에는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여 안전측으로 설계 4. 경험적 방법에 의해 하중계수, 강도감소계수 결정됨 5. 사용성(처짐, 균열..

2023. 9. 10. 14:59
카테고리 없음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 농업용 필댐 설계(KDS 67 10 20) - 홍수조절용량

■ 홍수조절용량 정리 1. 유역면적이 5㎢ 이하이거나 홍수도달시간이 1시간 미만인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 원칙적으로 홍수조절용량을 고려하지 않음 2. 만수면적이 유역면적의 1/30 보다 크고 홍수도달시간이 상당히 긴 경우에는 홍수조절을 고려함 1. 댐의 규모가 큰 경우(EAP 수립 대상) : 가능최대홍수량 2. 그 외 소규모 댐 : 빈도홍수량 하류지역의 홍수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PMF를 적용하여 설계하는 저수지에는 집중호우 및 이상강우에 의한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농업용수 공급에 필요한 유효저수량 외에 홍수조절을 위한 저수용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 가능최대홍수량(PMF) 어떤 지속시간에서 어느 특정 위치에 주어진 유역에 대하여 연중 지정된 기간동안에 물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2023. 8. 8. 00:10
카테고리 없음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 농업용 필댐 설계(KDS 67 10 20) - 저수용량 결정

■ 용어의 정의 댐높이 : 댐마루의 상류단을 통과하는 연직면과 기초면이 교차하는 최저 기초지반의 표고차를 말한다. 기초지반에 지수벽의 저폭이 10 m 이상일 때는 지수벽 직하류의 기초지반을 최저기초지반으로 취한다. 여유고 : 설계최고수위와 댐마루의 표고차를 말한다. 설계최고수위는 일반적으로 설계홍수위를 말하며, 게이트식 물넘이를 가진 댐에서는 평상시 만수위 또는 홍수조절시 만수위가 설계홍수위보다도 높을 경우는 높은 수위를 취한다. 댐마루에서 덧쌓기 높이는 포함하지 않으며 파라핏(parapet) 높이가 3 m 이상일 경우는 여유고에 포함시킨다. 댐길이 : 댐마루에서 댐의 종단방향 총길이를 말한다. 양안 접속부의 굴착부분을 포함한다. 댐체에 접속해서 물넘이나 발전소 건물 등이 있을 경우는 이를 포함한 길이로..

2023. 8. 1. 23:09
카테고리 없음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 용배수로 시설 설계(KDS 67 20 20)

■ 개수로 설계의 기본사항 수리상, 구조상 유리한 단면 수리상 유리한 단면(KDS 67 20 20) 가. 수리상 유리한 단면은 소정의 통수단면적(A)에 대하여 윤변(P)이 최소로 되는 경우 즉, 경심(R)이 최대가 되어 최대유속능력을 가진 수로단면이다. 또 이는 경제 적으로도 유리한 경우가 많다. 구조상 유리한 단면 가. 플륨의 경우 수로의 단면형은 저폭과 수심비가 1:1~2:1 정도의 것이 유리한 것 으로 되어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이상의 비가 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옹벽 또는 블록쌓기 수로 등의 수로벽이 자립하는 형식과 비교·검토하는 것이 좋다. 나. 콘크리트 옹벽 등에서 좌우안의 하중조건이 크게 다른 경우에는 수로벽 구조가 좌우안에서 달라지는 형식이 되는 수도 있다. 토공 - 흙깎기 흙깎기..

2023. 8. 1. 00:21
카테고리 없음

<토질 공부>2.3 응력과 변형률 : 응력과 변형률 관계와 강성의 정의

2.3 응력과 변형률 관계와 강성의 정의 ■ 응력-변형률 성분에 따른 탄성계수(강성)의 정의 응력-변형률 관계곡선의 기울기를 강성(stiffness)라 함 강성은 지반재료 시험으로 결정하며 시험법의 구속조건이나 재하방법(응력경로 이용)에 따라 정의와 크기가 달라짐 따라서 지반 강성은 응력경로(시험법), 구속조건, 그리고 취득하는 기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음 지반의 사용성 문제(탄성모델)에 대해 검토할 때, 탄성구간의 강성이 탄성계수이고, 응력-변형률 성분에 따라 일축압축, 구속, 전단, 체적 탄성계수 등이 있음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관계라면 그 정의는 아래와 같음 일축압축하중조건에서 탄성계수(영계수) : E=Δσz/εz(μ=-εx/εz=-εy/εz) 횡방향 변위 구속압축조건에서 탄성계수 : D=Δ..

2023. 7. 23. 17:47
카테고리 없음

<토질 공부>2.2 응력과 변형률 : 실제 지반의 거동과 응력-변형률 관계

2.2 실제 지반의 거동과 응력-변형률 관계 ■ 응력 변형률 관계(구성방정식) 이해를 위한 예 단면적이 A인 재료에 하중 P를 단계적으로 가하는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할 때, (원인의 하중, 식1) P=σA (결과로 나타나는 변형률, 식2) ε =ΔL/L 위 식에서 기지량은 P, A, L, 모르는 값은 σ, ε, ΔL 3개임 이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하나의 추가적인 식이 필요한데 응력-변형률 관계식을 도입할 수 있고 이는 실험을 통해서 얻을 수 있음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고 시험결과를 응력-변형률 관계 그래프로 정리하면 탄성재료의 경우 직선으로 나타남 따라서 응력-변형률 관계식(구성방정식, 식3)은 σ=Eε 임 3개의 방정식이 마련되었으므로 임의 하중에 대하여 미지값 σ, ε, ΔL을 모두 파악할 수 있..

2023. 7. 23. 17:02
  • «
  • 1
  • 2
  • 3
  • 4
  • ···
  • 7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38)
    • 경제지표 공부 (5)
    • 파이썬 기초 (1)
    • 공부 (0)
    • 토목 (20)
      • 토목 관련 기술사 (2)
      • 토질 및 기초 공부 (18)

태그

  • #홍수조절대상
  • #빈도홍수량
  • #팽창성 거동
  • #경제지표
  • #지반모델링
  • #PMI
  • #지반공학
  • #선형탄성
  • #한계상태설계법
  • #Hoek-Brown
  • #저수용량
  • #지반공학 이해
  • #ism
  • #Mohr-coulomb
  • #터널의 거동특성
  • #탄소성
  • #허용응력설계법
  • #터널해석
  • #무계측 유역
  • #creep현상
  • #가능최대홍수량
  • #기준 갈수량
  • #필댐 설계
  • #비선형탄성
  • #가능최대강수량
  • #10년 빈도 갈수량
  • #토질역학
  • #DIROM
  • #크립현상
  • #안세천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SquareDollars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