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토질 개념정리 : 안전율과 파괴확률의 차이

2. 토질 개념정리 : 안전율과 파괴확률의 차이

 

 결정론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된 안정성 판단기준인 안전율(R/L)의 의미

  • 고정된 지질조건과 지반물성에 대하여 안전율을 계산하고
  •  안전율이 1.0보다 작으면 불안정한 것으로 평가
  •  입력변수의 불확실성 및 다양성을 고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상물의 위험도를 제시하지 못함

  확률론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된 안정성 판단기준인 파괴확률의 의미

  •  한계상태보다 작은 안전율을 갖는 확률밀도 면적에 의해 결정
  •  신뢰도 지수를 이용해 파괴값 1.0으로부터 평균안전율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결정

  안전율과 파괴확률의 적정성 비교

  •  사면안정해석에 있어서 안전율이란 사면의 상대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에 불과
  •  입력변수의 불확실성 및 다양성에 따른 위험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님
  •  사면이 어느 정도 안정한 것인지 등 확률론적 안정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파괴확률이 더욱 적절한 것으로 인식됨
 
결정론적 사면안정해석에 사용된 안전율은 입력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하중과 저항의 상대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임
확률론적 사면안정해석은 파괴확률을 결과값으로 제시하는데, 안전율처럼 입력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해주는 결과인지는 확인해보아야할 것 같음
(지반의 불연속성으로 입력변수의 불확실성을 마찬가지로 완벽하게 고려할 순 없다고 생각됨.)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