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지표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ISM United States Manufacturing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에 대해서 알아보기
1. 개념(시사경제용어사전)
미국의 공급자관리협회(ISM :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가 미국내 20개 업종 400개 이상 회사를 대상으로 매달 설문조사를 실시해 산출하는 지수.
제조업지수(ISM Index)와 비제조업(서비스업)지수(ISM Non-manufacturing Index, ISM Services Index) 두 가지로 발표되는데 두 지수 모두 50 이상이면 경기확장을, 50 이하면 수축을 예고한다.
신규 주문, 생산, 고용, 원자재 공급, 재고 등 5개 분야에 대해 회원들이 ‘악화(worse)’ ‘불변(same)’ ‘개선(better)’이라고 답하면 ISM이 이를 수치화해 PMI를 산출한다.
ISM 제조업지수의 강점은 단연 선행성이다.
미국 제조업 경제활동을 미리 볼 수 있는 데다 매월 초 발표되기 때문에 시기상 다른 후속 지표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출처 : https://www.moef.go.kr/ (기획재정부 시사경제용어사전)
2. 타지표들과의 관계
※ 출처 : 주린이를 위한 경제지표 해설, 유진투자증권, 2021.08.19
1) (가장 핵심) ISM 제조업 신규주문-재고 = 제조업 지수에 선행하는 추이를 보임
2) ISM 제조업 가격지수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에 선행(2~3개월)하는 추이를 보임
※ ycharts 데이터 이용하여 작성함.
3) ISM 제조업지수는 미국 경제성장률 간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가짐
- 주목할만한 점은 제조업지수가 53 이하로 하락했을 때, 미국 경제성장률이 역사적 평균을 하회함
3. 2023년 2월 US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에 대한 생각(핵주린이 주의)
- 미국 GDP에서 제조업은 약 10% 정도 차지하고, 민간 부분 내 세 번째로 비중이 높음
- ISM 제조업 가격지수가 반등하는 추세를 보임으로 3월 US CPI 지수도 (전월대비?) 상승할 수 있음
- US CPI가 상승한다고 해도 예상치보다 차이가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