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토질 개념정리 : 지반거동의 지배방정식

5. 토질 개념정리 : 지반거동의 지배방정식

 지반거동의 지배방정식 개념

  •  1.10 지반거동의 모델링(지반구성모델, 구성방정식)은 지반시스템의 거동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지배방정식을 통해 실제거동을 표현하거나 예측도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럼 지반거동의 지배방정식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자.
  •  지반거동은 지하수의 존재로 인해 역학적, 수리적 거동을 모두 포함한다라고 설명하였다. 건설공사에서 지진, 흐름(수두차), 등은 지반의 대표적인 거동 요인이다. 지반거동의 지배방정식이란 지반의 거동 요인에 의한 지반의 변위 및 지하수 흐름 거동현상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지반거동의 지배방정식 종류

  • 유효응력의 원리(변형거동의 지배방정식) - 제6장 유효응력

- 포화토의 변형은 흙 입자를 통해 전파되는 유효응력에 지배된다라는 사실을 발표하면서 간극수압이 지반거동에 미치는 영향과 압밀현상이 비로서 규명됨

  • 침투(투수)방정식(흐름거동의 지배방정식) - 제7장 투수이론

- 흙 속의 물의 흐름의 기본해법에 해당하는 침투(투수)방정식은 Darcy법칙, 연속방정식, 베르누이 정리와 같은 흐름거동의 지배방정식에 의해 수학적으로 표현된다. Laplace 방정식, 압밀방정식 등이 일반적인 3차원 침투(투수)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됨을 공부하게 될 것이다.

  •  Biot결합방정식(지반의 변형-흐름거동의 결합지배방정식) → 수치해석에 이용

- 지반문제는 역학적 변형거동과 수리적 거동이 상호 영향관계에 있다. 여기서 역학적 거동은 변위를 거동변수로 하는 변형문제, 수리적 거동은 수압 또는 유량을 거동변수로 하는 흐름문제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지반의 굴착이 지하수 유동을 야기한다거나 지하수위 저하가 대규모 지반침하를 야기하는 경우 지반-지하수의 구조-수리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비압축성 유체로 포화된 탄성지반의 압밀과정은 역학적 거동과 수리적 거동의 결합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예이다. Biot의 결합방정식은 주로 수치해석법을 통해 풀게 된다.

  •  지반반력계수를 이용한 지반-구조물의 상호거동 지배방정식 → 제2장 응력-변형률편
  • 파동방정식(동적지반 거동의 지배방정식)

 유효응력의 원리(변형거동의 지배방정식)

  • 테르자기의 유효응력 방정식
- σ'=σ-u
  • 비숍의 불포화토의 유효응력 방정식
- σ'=(σ-u)+x(uc-uw)

 침투(투수)방정식(흐름거동의 지배방정식)

  • 일반적인 3차원 투수(침투)방정식
  • 침투방정식(Laplace방정식)
  • 압밀방정식

지반반력계수를 이용한 지반-구조물의 상호거동 지배방정식

  •  말뚝의 수평방향 허용지지력 결정

- 탄성지반반력법(Chang의 방법)

- p-y곡선 방법

  •  가설흙막이구조물의 탄소성지반상 연속보 해석시 탄소성보의 기본방정식
  •  수동말뚝 해석에서 측방유동압 산정
  •  전면기초 설계시 연성법의 처짐 지배방정식
  •  항타말뚝의 시공관입성 평가를 위한 파동방정식 해석에 의한 동적거동 평가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