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토질 개념정리 :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에서 암의 분류기준
■ 토층과 리핑암의 경계를 시추자료로 판단할 때
- n치가 50일 때 10cm를 경계로 하여 더 많이 관입하면 도져로 굴착이 가능한 토층으로 구분하고, 더 적게 관입하면 리핑암으로 구분
■ 리핑암과 발파암의 경계를 시추자료로 판단할 때
- TCR이 25% 이하(NX기준)로 불량하고, RQD가 10% 이하(NX기준)이면 발파보다 리핑작업이 유리하므로 리핑암으로 구분한다. 또한, 리핑암과 발파암은 암반의 굴착특성을 결정하는 불연속면의 발달빈도와 탄성파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표 개념 5-1에 따라 구분한다.
■ 토공작업을 기준으로 흙 및 암석을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구분하며, 표토 및 풍화잔류토는 토사, 풍화암은 리핑암, 연경암을 발파암으로 규정한다
■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분류는 표준관입시험(N치), 탄성파속도(P파), TCR, RQD, 일축압축강도, 암석의 풍화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구분한다.
■ 별도의 시험, 검토 등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는 표 개념 5-1을 기준하여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분류한다.
■ 표준관입시험, 불연속면의 발달빈도, 탄성파속도 등은 별개의 고려 조건이 아니므로 분류시 이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구 분 | 토공작업 | |||
토사(도쟈) | 리핑암 | 발파암 | ||
표준관입시험(N치) | 50/10 미만 | 50/10 이상 | ||
불연속면의 발달빈도 | BX크기 | - | TCR=5% 이하이고 RQD=0% 정도 |
TCR=5~10% 이상이고 RQD=0% 이상 |
NX크기 | - | TCR=5% 이하이고 RQD=0% 정도 |
TCR=25% 이상이고 RQD=10% 이상 |
|
탄성파 속도 | A 그룹 | 700m/sec | 700~1,200m/sec | 1,200m/sec 이상 |
B 그룹 | 1,000m/sec | 1,000~1,800m/sec | 1,800m/sec 이상 | |
A 그룹 암종 : 편마암, 사진편암, 녹색편암, 석회암, 안산암, 현무암, 유문암, 감람암, 화강암 B 그룹 암종 : 흑색편암, 휘록응회암, 셰일, 이암, 용회암, 집괴암 |
||||
TCR : 코아회수율 RQD : 암반양호도 BX : 직경 58mm NX : 직경 74mm |
반응형